본문 바로가기

전체 글21

부동산 개발 - 의의, 분류, 단계, 위험 [부동산 개발] 1. 부동산 개발의 의의워포드(Larry E. Wotford)는 "부동산 개발이란 토지에 개량물을 생산하기 위한 토지•노동•자본 및 기업가적 능력(entrepreneurial ability)의 결합 과정이라 하였다. 또한 개발이란 인간에게 생활•일•쇼핑•레저 등의 공간을 제공하기 위하여 토지를 개량하는 활동이라 정의한다. 토지개량 활동은 '조성개량활동'과 '건축개량활동'으로 구분할 수 있다.  ① 조성에 의한 개량은 도로공사, 상하수도 공사 등과 같이 토지 자체를 개량하는 것이다. ② 건축에 의한 개량은 토지 위에 주택이나 사무용 빌딩 같은 건축물을 세움으로써 토지의 효용을 증진하는 것이다.   2. 부동산 개발의 분류① 개발주체에 따라 부동산 개발은 개발주체에 따라 공공개발, 민간개발,.. 2025. 3. 30.
지역지구제의 목적, 개념, 효과, 문제점 [ 지역지구제 ]     (1) 지역지구제의 목적- 지역지구제는 토지이용에 수반되는 부(-)의 외부효과를 제거하거나 감소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.- 지역지구제는 사적 시장이 외부효과에 대한 효율적인 해결책을 제시하지 못할 때, 흔히 정부에 의해 채택되는 부동산 규제의 한 방법이다.- 용도지역지구제는 토지이용에 있어서 사회적 후생 손실을 완화하기 위해 지정된다.- 용도지역지구제는 토지를 경제적 • 효율적으로 이용하고 공공복리의 증진을 도모하기 위해서 지정된다.  (2) 지역지구제의 개념- 지역지구제는 어느 구역에 있는 토지를 먼저 지역으로 나누고, 지역은 다시 그보다 하위 단위인 지역이나 지구로 나눈다. 그리고 지역과 지구별로 허용되는 토지이용과 금지되는 토지이용을 규정하고 있다.- 지역지구제는 '어울리.. 2025. 3. 30.
부동산학개론 - 거미집모형 1. 거미집모형 의의(1) 의의①  거미집이론(cobweb theory)은 시차를 도입한 동태적인 이론으로 에치켈(MI J.Eziekel)에 의하여 분석이 이루어졌다.② 즉, 가격변동 시 수요는 즉각적으로 가격에 적응하나, 공급은 일정한 생산기간이 지난 후 적응하는 데 그 시차를 고려하여 가격이 어떻게 균형에 접근해 가는지 그 과정을 설명하는 이론이다.③ 거미집이론은 주로 배추, 고추 등의 농산물과 같이 공급량이 시차를 두고 반응하는 경우를 설명한다.④ 문제점: 공급자가 미래의 수요를 정확히 예측하여 공급량을 조절한다면 거미집모형은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.   (2) 거미집모형에 의한 수급 조절 과정① 부동산은 수요가 급증한다고 하더라도, 공급이 바로 증가하지 못하기 때문에 가격이 급등하기 쉽다. ② 가.. 2025. 3. 29.
부동산의 수요 1. 부동산의 수요 (1) 수요의 개념① 수요(demand)란 일정 기간 동안에 주어진 가격으로 소비자가 재화나 서비스를 구매하고자 하는 욕구를 말하며, '수요량'이란 주어진 가격수준으로 소비자가 구입하고자 의도하는 재화나 서비스의 총량을 말한다.② 수요는 소비자가 실제로 구입한 양이 아니라 의도된 양을 나타내는 사전적 개념이다.③ 일반적으로 수요란 '유효수요'를 의미한다. 유효수요란 '살 의사’와 ‘지불능력'을 갖춘 수요를 의미하며, 살 의사를 '욕구', 지불능력을 '구매력'이라고 한다.④ 수요는 일정 시점이 아니라 일정 기간에 걸쳐서 측정되는 유량의 개념이다. (2) 유량(flow)과 저량(stock)① 경제변수는 '일정 기간'에 측정되는 변수인 유량과 '일정 시점'에서 측정되는 저량으로 구분된다.②.. 2025. 3. 29.
토지의 자연적 특성2 (영속성, 개별성, 인접성) [토지의 자연적 특성]토지의 자연적 특성은 부동산이 본래부터 지니는 물리적 특성으로서 선천적 • 본원적 • 불변적인 특성이며 일반적으로는 부동성, 부증성, 영속성, 개별성, 인접성 등을 들 수 있다.    1. 영속성(비소모성, 불괴성)(1) 의의① 공간으로서의 토지는 영원히 존속되는 것으로 절대 파괴되지 않는데, 토지의 이 같은 성격을 불괴성 또는 영속성이라 한다.② 토지는 홍수•경작 방법 등에 따라 때로는 물리적 영향을 많이 받을지 모르나 근본적으로는 영구불멸이다. 즉, 이 특성은 사용해서 줄어들거나 방치해 두어도 부패하는 등의 질적 변화가 거의 없이 영속적인 사용과 보존이 가능하다는 뜻이다.  (2) 영속성으로부터 파생되는 특징① 감가상각의 적용 배제: 같은 부동산이라 하더라도 건물은 파괴될 수 있.. 2025. 3. 29.
토지의 자연적 특성(부동성, 부증성) [토지의 자연적 특성]토지의 자연적 특성은 부동산이 본래부터 지니고 있는 물리적 특성으로서 선천적 • 본원적 • 불변적인 특성이며, 일반적으로는 부동성, 부증성, 영속성, 개별성, 인접성 등을 들 수 있다.      1. 부동성(비이동성, 지리적 위치의 고정성)(1) 의의부동산은 물리적인 의미에서 그 지리적 위치가 고정되어 있다. 토지를 구성하고 있는 물리적 실체, 예를 들어 토양, 광물 등은 이동될 수 있으나, 토지의 지리적 위치 자체는 이동되는 것이 아니다. 부동산의 이 같은 성질을 부동성이라고 한다. 부동성을 다른 말로 비이동성 또는 위치의 고정성이라 한다.  (2) 부동성으로부터 파생되는 특징① 동산과 부동산을 구별하는 기초적 근거 - 부동산이라는 용어는 부동산의 여러 가지 특성 중에서도 특히 부.. 2025. 3. 29.